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리눅스마스터 2급 2차
- INFOSEC
- picoCTF 2021
- 디지털포렌식 자격증
- Hack The Box
- Capture The Flag
- 자격증
-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2급
- TryHackeMe
- picoCTF
- 정보보안
- htb
- picoGym
- root
- THM
- Cybersecurity
- 포렌식
- 해킹
- 디지털포렌식
- flag
- Whitehacker
- 정보보안산업기사 자격증
- hackthebox
- 리눅스마스터 자격증
- 정보보안산업기사 필기
- TryHackMe
- CTF
- 25 Days of Cyber Security
- kali-linux
- hacker
- Today
- Total
root@j4sper:~#
2022년 정기 2회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후기 본문
4월 17일 일요일에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시험을 보고 왔다.
CBT로 시험을 치뤄서 가채점 결과가 바로 나왔는데 3과목 평균 70점으로 간신히 합격했다.
나름 공부를 열심히 했다고 생각했지만 시험 보기 전 5일정도는 자신감이 생긴건지 확신이 있었던건지 모르겠지만 놀면서 공부를 했더니 간신히 합격을 했다.
간신히 합격을 했기에 긍정적으로 생각해야 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우선 합격한 공부 방법에 대해 말해보겠다.
공부 도서는 수제비 필기 도서로 약 3주간 공부를 했다.
첫째 주에는 수제비 도서 1회독, 두번째 주에는 수제비 도서 2회독, 세번째 주에는 3회독을 하였다.
1회독, 2회독을 진행할 때 수제비 도서에 있는 기출문제와 예상문제들은 책에 직접 풀지 않고 노트에 정답을 적어 풀이를 했다. 사람 심리상 문제가 풀려있으면 다음번에 문제를 풀 때 정답을 보고 넘어가기에 이론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않고 답만 외우게 되어 제대로된 공부를 할 수 없기에 노트에 풀었다.
노트에 문제를 풀고 틀린 문제가 있을 시 틀린 문제는 번호에 따로 체크를 해두어 내가 다음번에 풀 때 더욱 고려하여 풀었다.
1회독 후 처음 풀 때는 이론을 가볍게 보고 바로 풀었기에 틀리는 문제가 생각보다 많아 틀린 문제를 해설만 보고 이해하고 외우고 넘어갔다.
2회독할 때는 이론을 가볍게 보는게 아닌 더욱 꼼꼼하게 보면서 읽었다. 1회독에서 틀린 문제들을 생각하면서 더욱 꼼꼼하게 읽은 덕분에 문제들은 많이 틀리지 않았지만 1회독에서 틀린 문제들을 한번더 체크하면서 이해하고 넘어갔다.
3회독할 때는 이론에서 중요한 부분만 꼼꼼하게 읽고 다른 부분은 빠르게 읽고 넘어갔다. 그리고 이론을 읽고 문제를 바로 푸는 것이 아닌 이론 전체를 읽고 난 후에 문제를 풀었다.
수제비 책은 문제 바로 아래에 해설이 있어 해설을 계속 보게되어 노트 한장을 찢어 해설을 가리면서 문제를 풀었다.
이렇게 3회독을 하면 책 내용의 대부분이 머리에 저장된다. 나는 책을 읽을 때 밑줄이나 형광펜으로 표시하는걸 좋아하지 않는다. 밑줄이나 형광펜으로 표시하게 되면 끝도 없이 표시하게 되거나, 표시한 부분만 읽기 때문에 전체적인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래서 나는 이번 시험을 준비할 때 아무런 표시도 하지 않고 소설책을 읽는 것처럼 공부했다.
하지만 마지막 주에는 책을 3회독 하고 나서 전체 문제를 풀려고 할 때 게임이나 유튜브를 보면서 문제를 풀었더니 머리에 제대로 저장이 되지 않았다. 하지만 시험이 합격했기에 천만다행이다.
시험 후기를 말해보자면 정보시스템 기반 기술이 가장 어려웠다. 나머지는 IT 공부를 했던 사람이라면 조금은 쉽게 넘어갈 수 있었지만 정보시스템 기반 기술은 정말 이론만을 다룬거라 암기할 부분이 너무 많아서 힘들었다. 어떤 문제가 나올지 모르기 때문에 정보시스템 기반 기술 내용은 전부 암기해야 한다.
나머지 프로그래밍언어나 데이터베이스는 생각보다는 쉬웠다. 문제를 많이 꼬아서 낼 줄 알았지만 수제비에 실려있는 기출문제나 예상문제에 나온 문제들이 많이 나왔다. 하지만 이해는 필수다. 프로그래밍이나 데이터베이스는 암기가 아니라 풀이를 이해해야 한다. 코드를 이해해야 문제 풀이가 쉬워진다.
나의 필기 공부 방법과 후기는 여기까지다.
이제는 실기 시험 준비를 어떻게 해야할지 생각해 봐야겠다.
'License > 정보처리산업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정기 2회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0) | 2022.03.18 |
---|